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현재 위치
  1. 게시판
  2. 관련뉴스

관련뉴스

통신관련뉴스 게시판입니다

상품 게시판 상세
제목 스마트폰 사양표 보는 법 - 프로세서, 램, 내장 메모리, 디스플레이, LTE/3G, 배터리 등 -
작성자 상담원 (ip:)
  • 평점 0점  
  • 작성일 2012-05-12
  • 추천 추천하기
  • 조회수 14253

-------------------------------------------------------------------------------------------------------------

스마트폰 사양표 보는 법 1부 - 프로세서, 램, 내장 메모리 등

-------------------------------------------------------------------------------------------------------------


 

2012년 현재, 휴대전화 시장은 온통 스마트폰 천지다. 몇 년 전만 해도 곧잘 보이던 폴더나 슬라이드 형태의 피처폰(일반폰)은 이제는 신제품이 거의 나오지 않는다. 때문에 이제 새로운 폰을 사려면 좋던 싫던 스마트폰 중에 하나를 골라야 할 것이다.

그런데 워낙 많은 스마트폰이 존재하다 보니 평소 상당수 일반 소비자들은 제품을 고르는 것이 고역이다. 피처폰 시절에는 카메라 화소수나 화면 크기와 같은 부가 기능 몇 가지와 디자인 정도만 고려해도 제법 만족스런 선택을 할 수 있었지만, 스마트폰 세상이 오면서 상품 설명에 프로세서, 운영체제, 메모리, 통신 방식 등의 복잡한 IT용어들이 난무하게 되었다. 이 용어들의 의미는 무엇이며 어떤 항목을 눈 여겨 봐야 할까? 우선은 프로세서, 램을 비롯한 가장 기본적인 성능을 나타내는 사양을 확인하는 법부터 살펴보자.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운영체제란 컴퓨터 시스템을 이루고 있는 모든 하드웨어 및 응용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다. 운영체제에 따라 해당 시스템의 기능 및 이용 형태가 달라지는데, PC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 운영체제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스마트폰에서는 애플의 ‘iOS’와 구글의 ‘안드로이드’가 가장 많이 쓰인다.

iOS는 아이폰 시리즈로 대표되는 애플 제품에서만 쓰이지만, 안드로이드는 삼성전자, LG전자, 팬팩, HTC를 비롯한 다양한 제조사의 제품에 널리 쓰이는 점이 다르다. IOS와 안드로이드 중에 어느 쪽이 더 우수한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으므로 이는 판매점이나 주변의 지인이 가진 제품을 직접 체험해 보면서 자신의 취향에 맞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정답이다.

같은 이름의 운영체제라도 나온 시기에 따라 버전이 달라지며, 버전이 높을수록 기능 또한 향상된다. 출시 초기에는 낮은 버전의 운영체제가 탑재되어 있더라도 나중에 제조사에서 더 높은 버전으로 업데이트를 해주기도 한다. 다만, 차후 운영체제 업데이트의 여부는 해당 기기의 성능이나 제조사의 의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제품에 따라 원활하게 업데이트가 지원되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또한 많다. 따라서 제품을 구매하기 전에 제조사의 홈페이지를 방문해 해당 제품의 운영체제 업데이트 스케줄을 확인해보는 것도 중요하다.

프로세서(processor)

스마트폰은 ‘손안의 PC’라 불릴 정도로 PC와 유사한 구조를 가졌다. 프로세서란 컴퓨터 시스템의 중추를 이루는 처리장치로, 해당 시스템의 전반적인 성능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다. PC용 프로세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라고 부르곤 하는데, 이 때문에 스마트폰용 프로세서 역시 CPU라 불러도 큰 무리는 없다.

다만, 대부분의 PC용 프로세서가 순수한 연산 기능만을 수행하는데 비해, 스마트폰용 프로세서는 제품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해 일반 연산 기능 외에도 그래픽 처리, 통신기능 등의 기능을 하나의 칩에서 처리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스마트폰용 프로세서는 CPU가 아닌 SoC(System On Chip), 혹은 AP(Application Processor)라는 별도의 이름으로 지칭하기도 한다.

프로세서의 성능을 나타내는 가장 대표적인 수치는 클럭(clock: 동작 속도)이다. 2010년 즈음에 나온 스마트폰은 대개 500 ~ 600MHz 정도의 클럭 수치를 가지고 있었으나 2012년 현재는 1GHz 클럭이 거의 기본이 되었으며, 일부 고급형 제품들은 1.5GHz 이상 클럭의 고속 프로세서를 내장한 경우도 있다.

클럭 외에 코어(core)의 형태 역시 주목해야 한다. 코어란 프로세서 내의 핵심 연산 회로인데, 과거에는 프로세서 당 1개의 코어만을 내장한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현재는 2개의 코어를 내장한 듀얼코어(Dual core) 프로세서, 그리고 4개의 코어를 내장한 쿼드코어(Quad core) 프로세서도 나오고 있다.

클럭 속도와 코어의 수 중에 어느 쪽이 중요한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리지만, 대개 하나의 작업을 빠르게 처리하고자 할 때는 클럭 속도가 높은 쪽이, 동시에 여러 가지의 작업을 할 때는 코어 수가 많은 쪽이 더 유리하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다. 물론, 클럭이나 코어 수치가 같더라도 해당 프로세서의 아키텍처(architecture: 설계 방식)에 따라 성능 차이가 나기도 하지만 현재 시중에 판매되는 스마트폰용 프로세서 중에는 유사한 아키텍처가 적용된 경우가 많다.

시스템 메모리(램)

흔히들 램(RAM)이라 부른다. 컴퓨터 시스템의 주기억장치에 해당하며, 현재 사용중인 각종 스마트폰용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 이하 앱)을 띄우고, 필요에 따라 이를 빠르게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탑재된 램의 용량이 클수록 덩치가 큰 앱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고, 동시에 여러 가지 앱을 실행할 때도 원활한 작업을 할 수 있다.

반대로 램의 용량이 적으면 일부 앱의 실행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앱을 실행하더라도 종종 스마트폰이 ‘먹통’ 상태가 되는 등의 현상이 나타난다. 2012년 현재, 대부분의 스마트폰에 512MB 가량의 램이 탑재되어 있으며, 일부 고급 제품의 경우 1GB 이상의 램이 탑재되기도 한다

내장 메모리(롬)

일부 제조사에서 ‘롬(ROM)’이라 표기하기도 한다. PC의 하드디스크와 같은 역할을 하는 보조기억장치인데, 스마트폰에서는 하드디스크 대신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반도체를 사용한다. 각종 앱을 설치하거나 음악이나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파일을 저장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당연히 내부 메모리의 용량이 클수록 앱이나 멀티미디어 파일을 많이 설치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의 용량은 해당 스마트폰의 특성에 따라 큰 차이가 나는 경우가 많다. 애플의 아이폰 시리즈와 같이 내장 메모리만을 가진 스마트폰은 8 ~ 128GB의 고용량 내장 메모리를 갖춘 경우가 많다. 하지만, 그 외의 스마트폰은 1GB 남짓의 저용량 내장 메모리를 갖춘 대신, 차후에 사용자 임의대로 용량을 확장할 수 있는 SD카드 슬롯 기능 및 8 ~ 16GB 가량의 SD카드를 함께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SD카드 슬롯이 있으면서도 고용량 내장 메모리를 가진 스마트폰도 존재한다.

SD카드 슬롯

외장 메모리 슬롯이라 부르는 경우도 있다. 앞서 설명한 내장 메모리와 역할은 비슷하지만, 사용자 임의대로 저장 용량을 확장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시중에 판매되는 SD카드를 구매해 꽂는 식으로 용량을 확장할 수 있다.

다만, 스마트폰에서 사용하는 ‘마이크로 SD카드’는 디지털카메라용으로 주로 쓰는 일반 SD카드와 동작원리는 같지만 카드의 크기가 다르므로 구매 전에 꼭 확인하는 것이 좋다. SD카드 슬롯을 가진 대부분의 스마트폰이 최대 32GB까지의 SD카드를 인식할 수 있으나 예외도 있으므로 SD카드 구매 전에 제조사로 문의하여 이 사항을 미리 확인해 두도록 하자.

PC의 사양표를 보는 느낌?

이 정도의 사양을 파악할 수 있다면 해당 스마트폰의 대략적인 성능과 등급을 파악할 수 있다. 마치 PC의 사양표를 보는 느낌인데, 그도 그럴 것이 스마트폰과 PC는 외형은 달라도 내부적인 동작 원리는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만약 PC라면 위의 사양 정도만 알아도 충분하지만, 스마트폰은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다음 기사(http://it.donga.com/openstudy/9108/)에서는 화면, 통신 방식, 배터리 등과 같은 스마트폰 특유의 사양을 살펴보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

스마트폰 사양표 보는 법 2부 - 디스플레이, LTE/3G, 배터리 등
-------------------------------------------------------------------------------------------------------------

 


이전 기사(http://it.donga.com/openstudy/9076/)에서 스마트폰의 운영체제, 프로세서, 메모리와 같은 기본 성능에 관련된 사양표 항목의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다만, 이는 컴퓨터 기반 시스템이라면 공통적으로 가진 사양이라 PC에 관심이 있던 사용자라면 굳이 따로 공부를 하지 않고도 금방 파악할 수 있는 부분이었다. 이번에는 스마트폰 고유의 특성을 나타내는 사양 부분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이를 어떻게 보고 가늠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디스플레이 형식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IT기기에 달려있는 디스플레이(화면)패널을 보고 흔히들 '액정'이라고 하는데 이는 사실 정확하다 할 수 없다. 액정이란 여러 가지 디스플레이 방식 중에 'LCD' 방식의 패널을 구성하는 재료를 가리키는 말이다. 2012년 현재 쓰이는 스마트폰용 디스플레이 중에는 LCD 외에 'AMOLED' 방식의 패널을 쓰기도 한다.

LCD는 외부 자극에 따라 분자 구조를 바꾸는 액정이라는 물질을 채운 패널에 전기 자극과 빛을 가해 화면을 표시한다. 이에 비해 AMOLED 방식의 디스플레이는 액정 대신 OLED(유기발광다이오드)라는 소재로 패널을 구성하는데, OLED는 전기만 공급하면 곧장 자체적으로 빛을 내므로 LCD처럼 외부에서 빛을 가할 필요가 없다. 덕분에 AMOLED는 LCD 보다 두께가 얇으면서 반응 속도가 빠르고 고른 색감을 내는 화면을 얻을 수 있다.

다만, AMOLED가 보다 진보된 기술이긴 하지만 LCD가 아직도 훨씬 많이 쓰이며, 그 동안 여러 가지 기술 노하우도 쌓인 상태라 2012년 현재 상태에서는 IPS-LCD와 같이 AMOLED 못지 많은 고화질을 구현할 수 있는 LCD도 다수 나와있다. 그리고 화질이라는 것은 개인의 취향도 많이 반영되므로 구매 전에 대리점을 방문해 제품을 직접 체험해 보는 것을 추천한다.

해상도

해상도(resolution)란 화면의 정밀도를 나타낸다. 정확히는 화면 전체를 구성하는 점(화소)이 얼마나 조밀하게 배열되었는지를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480 x 800 해상도라면 가로로 480줄, 세로로 800줄로 화소가 배열되어 총 384,000개의 화소로 구성된 화면이라는 의미다.

따라서 해상도가 높은 화면일수록 보다 정교한 이미지를 볼 수 있으며 크기가 작은 글자도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다. 시중에 판매되는 스마트폰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제품이 480 x 800 해상도의 화면을 갖추고 있다. 때문에 이보다 해상도가 높으면 고급형 제품, 낮으면 보급형 제품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

카메라 / 플래시

현재 시장에 나온 스마트폰은 모두 카메라를 탑재하고 있다. 카메라의 성능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기준은 디지털카메라와 마찬가지로 화소수다. 고화소 카메라일수록 보다 크고 정밀한 사진을 찍을 수 있다. 다만, 블로그나 SNS 등에 올리기 위한 단순한 일상 사진을 찍기엔 300만 화소 정도면 충분하며, 500만 화소 정도라면 인화 시에도 큰 문제가 없다. 시중에 팔리고 있는 대부분의 스마트폰이 500만 화소 이상의 카메라를 탑재하고 있고, 이 이상의 화소수는 실제 성능보다는 마케팅적인 요소가 더 크다는 시각도 있다.

카메라보다 오히려 더 주목해야 할 것이 플래시의 유무, 그리고 종류다. 플래시가 있으면 어두운 곳에서 사진을 찍을 때 특히 유용하다.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플래시는 제논 방식과 LED 방식이 있다. 제논 방식은 일반 디지털카메라에 달리는 플래시와 동일한 것으로, 광량이나 발광 속도가 우수해 디지털카메라 못잖은 사진을 찍을 수 있지만 배터리 소모가 심한 것이 단점이다. 반면, LED 방식은 광량이 낮은 대신 배터리 효율이 높다. 어느 쪽이 유리한지는 사용자의 취향이나 사용패턴에 따라 달라진다.

이동통신 방식(3G / 4G LTE)

2012년 현재 시장에는 3G(3세대이동통신)방식의 스마트폰과 4G(4세대이동통신)방식의 스마트폰이 함께 판매 중이다. 양 방식의 가장 큰 차이는 데이터 통신속도다. 4G 방식이 3G 방식에 비해 통신 속도가 빨라 인터넷 서핑이나 파일 다운로드를 쾌적하게 할 수 있으며, 유튜브와 같은 실시간 인터넷 동영상 역시 끊김 없이 즐길 수 있다. 4G는 여러 세부 규격으로 나뉘는데 그 중 LTE가 대세를 이루고 있다.

다만, 3G는 월 5만 4천원을 내면 데이터 사용을 제한 없이 할 수 있는 무제한 요금제가 있지만, 4G는 무제한 요금제가 없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4G폰을 쓰고자 한다면 한 달에 어느 정도의 데이터를 쓰는지 꼼꼼히 따져보고 자신의 이용패턴에 맞는 요금제를 선택하도록 하자.

와이파이(Wi-fi)

와이파이란 PC에서 인터넷에 접속할 때 이용하는 랜(LAN)을 무선화한 것이다. PC용으로 쓰는 유선 랜 케이블을 무선 신호로 바꿔주는 '무선 공유기'를 사용하면 해당 공유기 주변에 와이파이에 접속할 수 있는 구역이 생성된다. 와이파이에 접속된 스마트폰은 3G나 4G 데이터를 쓰지 않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므로 통신 요금을 아낄 수 있다.

요즘은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같은 이동통신사에서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 자사 스마트폰으로 접속이 가능한 와이파이 존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으니 이를 이용해 보는 것도 좋다. 와이파이는 802.11g 규격과 802.11n 규격이 가장 많이 쓰이며, 802.11n이 통신속도가 더 빠르다. 따라서 새로 스마트폰을 구매할 때는 되도록이면 802.11n을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다.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는 무선 헤드셋이나 무선 핸즈프리를 쓰기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 규격이다. 그 외에 근거리에 있는 스마트폰끼리 사진이나 음악 파일을 주고 받을 때도 쓰인다. 버전에 따라 통신 속도가 다르며, 근래에 출시되는 스마트폰에는 대부분 블루투스 3.0이 탑재되었다.

HDMI / MHL

HDMI 포트가 달린 스마트폰은 TV에 연결해 큰 화면에서 화면과 음성을 감상할 수 있다. 다만, TV에는 일반 HDMI 포트가 달려있지만 스마트폰에는 이보다 크기가 작은 마이크로 HDMI 포트가 달려있으므로 양측을 연결하려면 마이크로 HDMI와 미니 HDMI를 연결하는 변환 케이블이 필요하다.

일부 스마트폰의 경우, 자체적으로 HDMI 포트가 없는 대신 충전을 하거나 PC와 연결할 때 쓰는 마이크로 USB 포트를 통해 영상과 음성을 TV로 출력할 수 있는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기능을 가진 경우도 있다. MHL 기능을 가진 스마트폰은 별도로 판매되는 변환기를 달아 HDMI 출력이 가능하다.

배터리

현재 시장에는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는 스마트폰과 그렇지 않은 스마트폰이 함께 팔리고 있다.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스마트폰은 출고 시에 대부분 2개의 배터리가 제공되어 필요에 따라 교체해가며 쓸 수 있다. 그 외의 제품들은 배터리가 완전 내장형이라 사용자가 직접 배터리를 교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내장 배터리 방식 제품들은 디자인이 독특하거나 크기가 작은 경우가 많다. 배터리는 내부의 셀(cell)용량에 따라 사용 시간이 달라진다. 2012 현재 시중에 팔리는 스마트폰 배터리의 셀 용량은 1,500mAh(밀리암페어) 남짓이다. 이보다 용량이 크면 대용량 배터리라는 평을 듣곤 한다.


-------------------------------------------------------------------------------------------------------------
자료출처: 글 / IT동아 김영우(pengo@itdonga.com)

-------------------------------------------------------------------------------------------------------------

첨부파일
비밀번호 삭제하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관리자게시 게시안함 스팸신고 스팸해제 목록 삭제 수정 답변
댓글 수정

비밀번호 :

수정 취소

/ byte

비밀번호 : 확인 취소



TODAY'S
ITEMS

  • 버튼
  • 버튼
  • 버튼
 

QUICK ICONS

라인

  • 공지사항
  • 문의하기
  • 상품후기
  • 포토후기
  • 이벤트
  • 고객센터
  • 마이쇼핑
  • 배송조회
  • 주문조회
  • 장바구니
  • 관심상품
  • 최근본상품
  • 적립금
  • 예치금
  • 등급안내
  • 쿠폰관리
  • 내게시물
  •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