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4월부터는 기존에 사용하던 이동전화 번호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일반 이동통신 서비스보다 평균 요금이 20%가량 싼 이동통신 재판매사업자(MVNO)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번호이동이 자유로워지면 기존 3개 이동통신 회사와 MVNO들의 무한경쟁이 본격화돼 정부나 국회가 강제로 이동통신 요금을 내리도록 나서지 않아도 사업자 간 경쟁을 통한 통신요금 인하 효과가 기대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KT, LG U+ 등 이동통신 사업자와 MVNO 간의 번호이동 서비스가 지난달부터 가능해져, 요금이 싼 MVNO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소비자들이 기존에 쓰던 이동전화 번호를 유지하면서 MVNO로 서비스회사를 옮길 수 있게 됐다고 지난달 31일 밝혔다.
SK텔레콤은 MVNO 계약을 맺은 한국케이블텔레콤(KCT)의 시스템이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와 연동테스트를 거치는 데 시간이 걸려 4월 1일부터 번호이동을 제공할 계획이다. MVNO 서비스는 지난해 7월 처음 시작했지만 이동통신망을 빌려주는 회사와 그 회사의 망을 쓰는 MVNO 간 번호이동이 안돼 사실상 소비자들이 다양한 MVNO를 선택하기 어려웠던 게 사실이다. 이동통신 회사의 가입자등록서버(HLR)가 자사 가입자와 MVNO의 가입자를 구분하지 못하는 한계 때문이었다.
그러나 번호이동 문제가 해결되면서 MVNO들이 기존 이동통신 3사와 정면으로 경쟁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방통위는 "이동통신 사업자와 MVNO 간 번호이동이 이루어지면 소비자들은 기존 이동통신 서비스보다 약 20% 이상 저렴하게 MVNO 서비스를 번호 변경 없이 선택할 수 있게 돼 이동통신 요금 인하 경쟁 활성화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